십계명 다시보기 (출애굽기 20:1~17)

 

2. 하나님과 사람사이 1: 다른 신들은 누구인가?(20:3)

 

1계명부터 제3계명까지는 하나님과 사람 사이의 관계를 알려준다. 그 첫 계명이 너는 나 외에는 다른 신들을 네게 있게 말지니라(개역개정) You shall have no other gods before me(NIV)”이다. 여기에서 영어 단어 ‘before’NIV에 따르면 ‘~에게 적대적인이라는 의미라고 한다. 하나님께 적대적인 신을 갖지 말라는 의미이다.

 

하나님께 적대적인 신들은 누구일까? 여기에 대해서는 가나안을 들어갈 때 주신 명령들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34:15) 너는 삼가 그 땅의 주민과 언약을 세우지 말지니 이는 그들이 모든 신을 음란하게 섬기며 그들의 신들에게 제물을 드리고 너를 청하면 네가 그 제물을 먹을까 함이며

(18:21) 너는 결단코 자녀를 몰렉에게 주어 불로 통과하게 함으로 네 하나님의 이름을 욕되게 하지 말라 나는 여호와이니라

(8:33) 드온이 이미 죽으매 이스라엘 자손이 돌이켜 바알들을 음란하게 위하고 또 바알브릿을 자기들의 신으로 삼고

 

출애굽에서 가나안시대에 이르기까지 대표적인 신이 셋 등장한다. 하나는 아세라(혹은 아스다롯)인데, 이를 섬기는 자들은 음란하게 섬긴다고 했다. 학자들은 종교의식 자체가 매춘이었다고 한다. 두 번째는 몰렉(혹은 몰록)인데, 몰렉은 장자를 제물로 드려서 태워 죽이는 방법으로 종교의식을 가졌다. 세 번째가 바알이다. 바알은 다산과 풍요의 신으로 역시 음란하게 섬기는 신이었다. 특히 유다왕 아합이 바알의 제사장 딸인 이세벨과 결혼한 뒤에 벌어지는 나봇의 포도원 사건(왕상 12)을 통해 돈을 위해 권력자가 생명을 가볍게 여기는 종교임을 짐작할 수 있다.

 

즉 이런 신들의 노예가 되면 음란하게 되고, 자식에게 잔인한 짓을 하며, 돈을 위해 생명을 빼앗는 삶을 살게 된다. 그래서 그들은 하나님에 적대적이다. 다시 말하면 그렇게 사는 것은 하나님을 섬기는 자의 삶이 아니다하나님 외에 다른 신을 두지 말라는 것은 이처럼 자유인의 삶에 대한 지침이 될 수도 있다


노예의 해방자였던 하나님은, 다른 신들처럼, 나 외에 다른 신을 두지 말라고 협박하는 하나님이 아니다. 왜 다른 신을 두지 말라고 했는지를 살펴보지 않으면 우리는 다른 미신을 섬기는 자들처럼 겁에 질려 하나님을 섬기게 된다. 그것은 노예를 해방시키신 사랑의 하나님을 믿는 태도가 아니다

십계명 다시보기 (출애굽기 20:1~17)

 

1. 하나님은 누구인가(20:1~2)

 

하나님은 십계명을 말하기 전, 자신이 누구인가를 먼저 밝힌다. 글로 따지자면 일종의 머릿말이다. 머릿말에는 그 글이 말하고자 하는 목적이나 계기, 혹은 전체 줄거리의 핵심을 적는다. 그런 의미에서 이 부분을 건너뛰면 십계명의 전체 기록 의도를 파악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십계명의 시작, 즉 서문은 하나님이 누구인가로 부터 시작한다. 1절은 단순히 기록자의 나래이션이고 2절이 바로 그 부분이다.

2 나는 너를 애굽 땅, 종 되었던 집에서 인도하여 낸 네 하나님 여호와니라(개역개정)

2 "I am the LORD your God, who brought you out of Egypt, out of the land of slavery.(NIV)

 

이 말씀은 하나님이 누구신가를 밝히는 부분이다. '난 이러저러한 하나님이니 넌 내 말을 들어라'라고 선포하고 있는 셈인데, 그 선포의 핵심은 바로 노예상태로부터 해방시키신 분이 라는 것이다. 이 말은 이중적인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할 수있을 것 같다.

 

1) 넌 원래 노예였는데 내가 이집트에서 데리고 나왔으니 내 말에 순종하라.

많은 분들이 이 말씀을 그런 의미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소유권 이전의 의미로 해석하는 것 같다. 즉 구약에 종종 등장하는 '너는 내 백성이다'라는 표현의 연장선에서 이스라엘 백성에 대한 하나님의 소유권선포로 보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해석하면 금방 문제가 드러난다. 아무리 미사여구로 치장을 한들 이스라엘 사람들은 그저 파라오의 노예에서 하나님의 노예로 바뀐 것일 뿐 여전히 자유인이 아니다. 혹자는 파라오의 노예보다 하나님의 노예가 더 나음을 강조하기도 하지만, 노예 입장에서 노예 신분이 변하지 않는다는 것은 결코 그 후에 주어진 계명에 대해 자발적 순종을 하게 만들기 쉽지 않다.

 

2) 너는 원래 노예였으나 이제 해방되었으니 자유인의 삶을 살아라. 그런데 자유인의 삶이란 이런 것이다.

파라오의 노예에서 해방되었다는 기쁨 가운데 주어진 자유인의 삶에 대한 일종의 지침이라는 것이다. 즉 하나님이 너희에게 자유를 주었으니 이제 다시는 다른 누구(무엇)에게도 노예가 되지 말라며 노예가 되지 않는 삶의 지침을 주셨다는 것이다. 그것은 바로 오직 하나님을 섬기며(다른 무엇도 너희를 지배하지 못하게 하며) 사는 것이다. 그 외에도 '너희를 노예로 삼는 것들에는 이런 것들이 있다'고 하는 가르침으로 볼 수 있다.

 

두 번째 해석을 따르면 십계명이 다르게 보인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