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럼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만 할까 How Should We Then Live" 이 말은 프란시스 쉐퍼(Francis Schaeffer)가 쓴 유명한 책 제목입니다. 제가 며칠 전 쓴 글로벌경제가 우리를 원치 않는 죄인으로 만든다는 글에 내가 존경하는 한 목사님이  어느 분의 페이스북에 개인이 이를 속속들이 알 수가 없음을 한탄하는 댓글을 남긴 것을 보았습니다.


그분 말씀이 맞습니다. 도대체 내가 타고 있는 자동차의 철판이 브라질산이라는 것을 어떻게 알며, 브라질에서 생산되는 철강의 일부가 노예들이 생산한 숯으로 제련된다는 사실을 어떻게 개인이 알 수 있습니까? 사실상 불가능한 일입니다. 나역시 같은 형편이고, 그래서 내가 늘 주장하는 말이 '소극적 세상바꾸기'입니다. 


나는 한국 교회가 이런 문제에 관심을 가지길 기대합니다. 그리고 그런 관심에서 출발하여 몇 가지 작은 실천을 시작하자고 제안합니다. 


한국 사람들에게도 지금은 널리 알려져 있지만 할수만 있다면 공정무역상품을 구입하려고 노력하는 것입니다. 공정무역상품은 대표적으로 커피, 초콜렛, 설탕, 축구공 같은 공 등이 널리 거래되고 있습니다. 이런 상품들은 대부분 어린이 (노예) 노동으로 생산되어 왔고, 국제 NGO들이 여기에 뛰어 들어 어린이 노동이 배제되고 농가에 안정적인 적정 가격이 지불되는 시스템을 갖추고 생산하는 상품들입니다. 


또 단일 상품으로 가장 널리 알려진 어린이 노예노동 상품은 카펫트입니다. 주로 인도에서 생산되지요. 미국을 중심으로 카페트 소비가 많은 영국, 독일 등에 만들어진 단체가 GoodWeave이지요. 원래 미국에서 RUGMARK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다가 이를 국제 단체로 확장한 것입니다. 


이들은 인도의 카펫트 공장을 심사하여 어린이 노동이 없이 생산된다는 것이 입증되면, 아래 사진과 같은 자기들의 인증마크를 부여합니다. 그리고 이 인증마크를 달고 판매된 카펫의 수익금 1%를 기금으로 징수하여 인도의 어린이들이 어린이답게 교육받고 성장하도록 지원합니다.





물론 이렇게 하려면 우리는 불이익을 감수해야 합니다. 가격이 비싸서 소비를 줄이거나 지출 금액을 늘려야 합니다. 우리 가운데 선한 마음(성령의 인도하심)이 있다면 그 마음이 허락하는 한도 내에서 실천에 옮기는 것이지요. 우리 소비 전체를 갑자기 공정무역 상품으로 바꾸자는 이야기가 아닙니다.


두번째 교회에서 실천할 수 있는 일은 특정 국가들에서 생산된 저가품을 주일학교 선물이나 교회 기념품 등으로 사용하지 말자는 것입니다.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이런 상품일수록 노예노동이 슬며시 끼어들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리고 이런 상품은 보통 품질이 낮아서 바로 고장나거나 사람들이 사용하지 않고 버리게 되는데, 이는 환경파괴로 이어집니다. 그래서 횟수를 줄이는 대신 제대로 생산된 국산 상품을 사용하실 것을 제안합니다.


한국 교회가 이런 실천만 해도 그 파장은 매우 강력합니다. 위에서 소개한 GoodWeave가 출범할 당시인 1995년에는 남아시아의 카펫트 산업에 어린이 노동자가 100만명(이들중 상당수가 노예입니다)에 달했으나 지금은 25만명 정도로 줄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공정무역 상품 소비를 조금씩 늘려가면 지금 당장 눈에 보이는 효과는 없는 것 같아도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이런 상품의 가격도 점차 낮아지고 이는 또 다시 소비 증가로 이어져 결국 노예를 줄이는 효과를 보게 되는 것입니다.


나는 늘 내가 너무 소극적이라는 사실에 불만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소극적이라도 행동하는 사람은 아예 행동하지 않는 사람이 결코 다다를 수 목적지를 향해 가고 있는 것입니다. 


(이글에 사용된 일부 정보는 Bales등이 쓴 Slavery Today를 참고하였습니다)

경제가 글로벌화 된다는 말은 그것을 이해하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가능합니다. 보통 우리가 듣는 이야기는 시장의 글로벌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경제성장이나 수익확대에 긍정적인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글로벌 경제의 진짜 의미는 시장 이전에 생산의 글로벌화에 있습니다. 그리고 생산의 글로벌화에는 우리 눈에 보이는 그럴듯한 측면과 그 뒤에 숨어 우리를 알게 모르게 죄인으로 만드는 알맹이 현상이 있습니다.


알맹이 현상이란 부품조달의 글로벌화입니다. 세계 여기저기에서 생산된 부품을 조립하여 완성품을 만드는 생산체제가 바로 글로벌 경제의 숨은 뜻입니다. 글로벌 경제는 생산가가 저렴한 지역(모두는 아니지만 상당부분을)에서 부품을 조달하여 판매시장, 혹은 그 인근지역에서 조립한 다음 "Made in xxxxx"라고 붙여서 판매하는 방식으로 유지됩니다. 알맹이는 바로 부품조달에 있는데 보통은 뒷 단계만 강조되지요. 많은 자동차회사들이 미국에 조립공장을 갖고 있는 것은 바로 이런 이유입니다.


[물론 상대적으로 부가가치가 적고 단순한 상품은 중국이나 인도처럼 아예 생산비가 저렴한 곳을 최종 생산지로 삼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런 나라를 생산기지로 삼는 데는 미래시장의 선점이라는 측면도 있기 때문에 꼭 생산비 때문에 그곳에서 생산하는 것만은 아닙니다.]


그런데 바로 이런 생산체제는 언제나 노예노동이 슬그머니 끼어들 가능성을 열어놓게 됩니다. 최종 생산이나 주요 원자재가 노예노동에 준하는 노동착취공장(sweat shop)에서 이루어진다면 국제 NGO들이 이를 알아채서 보이콧(구매거부) 계몽을 할 수 있습니다. 


널리 알려진 사례는 다이아몬드로 언젠가 영화 "Blood Diamond"로 만들어지기도 했지요. 이외에도 커피, 설탕, 초콜렛 같은 상품들이 있고, 공정무역(Fair Trade) 운동가들이 이런 상품의 생산에 깊이 간여하게 된 것입니다. 또 연금이나 기금이 이런 기업들에는 투자하지 않도록 촉구하는 사회책임투자(SRI) 운동도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부품이 그런 공장에서 생산된다면, 우리가 이를 알아채기 쉽지 않습니다. 이런 제품을 구입하는 우리는, 자신은 모르고 있지만, 노예로 부터 이익을 얻게 됩니다. 자동차, 전자, 의류 등 많은 상품들을 구입할 때마다 우리는 이런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글로벌 경제가 원치 않는 우리를, 노예로 부터 이익을 얻는 파렴치한 죄인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