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ree World!/평화로운 세상

그럼 우리는 어떻게 살까?

"그럼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만 할까 How Should We Then Live" 이 말은 프란시스 쉐퍼(Francis Schaeffer)가 쓴 유명한 책 제목입니다. 제가 며칠 전 쓴 글로벌경제가 우리를 원치 않는 죄인으로 만든다는 글에 내가 존경하는 한 목사님이  어느 분의 페이스북에 개인이 이를 속속들이 알 수가 없음을 한탄하는 댓글을 남긴 것을 보았습니다.


그분 말씀이 맞습니다. 도대체 내가 타고 있는 자동차의 철판이 브라질산이라는 것을 어떻게 알며, 브라질에서 생산되는 철강의 일부가 노예들이 생산한 숯으로 제련된다는 사실을 어떻게 개인이 알 수 있습니까? 사실상 불가능한 일입니다. 나역시 같은 형편이고, 그래서 내가 늘 주장하는 말이 '소극적 세상바꾸기'입니다. 


나는 한국 교회가 이런 문제에 관심을 가지길 기대합니다. 그리고 그런 관심에서 출발하여 몇 가지 작은 실천을 시작하자고 제안합니다. 


한국 사람들에게도 지금은 널리 알려져 있지만 할수만 있다면 공정무역상품을 구입하려고 노력하는 것입니다. 공정무역상품은 대표적으로 커피, 초콜렛, 설탕, 축구공 같은 공 등이 널리 거래되고 있습니다. 이런 상품들은 대부분 어린이 (노예) 노동으로 생산되어 왔고, 국제 NGO들이 여기에 뛰어 들어 어린이 노동이 배제되고 농가에 안정적인 적정 가격이 지불되는 시스템을 갖추고 생산하는 상품들입니다. 


또 단일 상품으로 가장 널리 알려진 어린이 노예노동 상품은 카펫트입니다. 주로 인도에서 생산되지요. 미국을 중심으로 카페트 소비가 많은 영국, 독일 등에 만들어진 단체가 GoodWeave이지요. 원래 미국에서 RUGMARK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다가 이를 국제 단체로 확장한 것입니다. 


이들은 인도의 카펫트 공장을 심사하여 어린이 노동이 없이 생산된다는 것이 입증되면, 아래 사진과 같은 자기들의 인증마크를 부여합니다. 그리고 이 인증마크를 달고 판매된 카펫의 수익금 1%를 기금으로 징수하여 인도의 어린이들이 어린이답게 교육받고 성장하도록 지원합니다.





물론 이렇게 하려면 우리는 불이익을 감수해야 합니다. 가격이 비싸서 소비를 줄이거나 지출 금액을 늘려야 합니다. 우리 가운데 선한 마음(성령의 인도하심)이 있다면 그 마음이 허락하는 한도 내에서 실천에 옮기는 것이지요. 우리 소비 전체를 갑자기 공정무역 상품으로 바꾸자는 이야기가 아닙니다.


두번째 교회에서 실천할 수 있는 일은 특정 국가들에서 생산된 저가품을 주일학교 선물이나 교회 기념품 등으로 사용하지 말자는 것입니다.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이런 상품일수록 노예노동이 슬며시 끼어들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리고 이런 상품은 보통 품질이 낮아서 바로 고장나거나 사람들이 사용하지 않고 버리게 되는데, 이는 환경파괴로 이어집니다. 그래서 횟수를 줄이는 대신 제대로 생산된 국산 상품을 사용하실 것을 제안합니다.


한국 교회가 이런 실천만 해도 그 파장은 매우 강력합니다. 위에서 소개한 GoodWeave가 출범할 당시인 1995년에는 남아시아의 카펫트 산업에 어린이 노동자가 100만명(이들중 상당수가 노예입니다)에 달했으나 지금은 25만명 정도로 줄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공정무역 상품 소비를 조금씩 늘려가면 지금 당장 눈에 보이는 효과는 없는 것 같아도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이런 상품의 가격도 점차 낮아지고 이는 또 다시 소비 증가로 이어져 결국 노예를 줄이는 효과를 보게 되는 것입니다.


나는 늘 내가 너무 소극적이라는 사실에 불만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소극적이라도 행동하는 사람은 아예 행동하지 않는 사람이 결코 다다를 수 목적지를 향해 가고 있는 것입니다. 


(이글에 사용된 일부 정보는 Bales등이 쓴 Slavery Today를 참고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