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음악*사진&생각

경제성장과 노예되기

전에 올린 적이 있는 노예에 대한 책에서 읽은 내용 중에 잠시 상념에 잠기게 하는 내용이 있어 소개합니다. 전에 올린 글은 이곳에서 읽으실 수 있습니다.

(http://alafaya.tistory.com/260)


('그대 잊지말라!' 사진은 밴쿠버 시내의 한 공원에 있는, 헝가리국민들이 소련의 독재에 항거하였던 투쟁을 기념하여 세운 비석)



영어의 노예라는 단어 slave는 원래 게르만족들이 슬라브족(slav)을 잡아다가 로마제국에 노예로 팔았기 때문에 생겼다고 합니다. 이 노예제도가 결국 로마나 비잔틴을 지탱하는 힘이었고 오늘날 글로벌 유럽의 기원이라고 할 수 있답니다.이 노예제도가 미국으로 전파되어 미국으로 확대된 것이라는 거지요.


노예무역이라고 알려진 당시의 경제구조는 아프리카를 지배하던 식민지종주국의 노예상이나 아프리카 부족장 등에게 유럽의 상품을 공급하고 대신 노예를 받아서 이 노예를 아메리카에 판 뒤 이 돈으로 북아메리카의 1차상품을 구입하여 다시 유럽에 파는 3각 무역이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영국에는 노예가 거의 없었지만, 18세기 당시에 영국은 이런 노예무역으로 막대한 돈을 벌고 있었습니다. 1787년 기독교의 한 종파인 퀘이커교도들과 대학을 갖 졸업한 또 다른 기독교종파인 성공회교도였던 토마스가 첫 인권단체를 결성하여 노예무역 종결을 주장하며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1791년 전국에 1300개 지부를 갖춘 이 인권단체는 대대적인 캠페인을 시작했고, 노예노동과 관련이 있는 상품에 대해 보이콧운동을 시작했습니다.


1807년 영불전쟁이 종료된 후 이 운동은 다시 추진되어 결국 1833년 노예폐지법안을 통과시켰고, 이는 미국으로 전파되어 역시 퀘이커교도들과 노예신분에서 탈출한 노예들을 중심으로 노예 해방운동을 하게 됩니다. 물론 노예 해방 이후에도 피오니지(peonage)라고 하는 변형된 노예제도가 오랫 동안 지속되었는데, 피오니지란 우리나라에서도 성산업의 성노예들에게 써먹었던 제도입니다.


피오니지란 노예노동을 시키고 그 댓가로 돈 대신 음식이나 물품 등을 구입할 수 있는 쿠폰을 지급하는데, 나중에 정산하면 항상 받아야할 금액보다 많아서 빚을 지게 만들고, 노예는 그 빚 때문에 할 수 없이 노예노동을 계속할 수 밖에 없는 제도입니다. 물론 이런 제도는 당연히 지역 경찰이나 정부와 같은 공권력의 비호 아래 유지되었으며, 이 빚을 그 자녀에게 물려주게함으로써 대대손손 노예노동을 하게 만들었습니다. 


그런데 이 시기에 노예제도를 옹호한 사람들의 한결같은 주장은 '노예제도를 가지고 있는 나라들의 경제적 성공'이었다고 합니다.


툭하면 일본의 보수주의자들이나 한국의 수구세력들도 일제의 한국 식민지지배가 한국을 근대화시켰다고 주장한다고 합니다. 심지어 최근에는 박정희의 딸이라는 사람이 아버지의 유신독재가 한국의 경제 성장을 위해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주장하고 있다고도 합니다. 그런 큰 일 말고도 여기저기에 경제성장이라는 단어를 갖다 붙이고 저지르는 횡포와 억지, 그리고 민주적 절차의 폐기와 실체 위장이 난무합니다. 제주 강정마을의 해군기지도 같은 논리를 들이대고 있고, 핵폐기장논의에서도 항상 그게 마법의 칼이었지요.


그래서 이들에게 경제성장은 다른 모든 가치를 파괴하는 이데올로기요, 우상입니다. 그리고 여기에 저항하지 않는 국민은 스스로 그들의 노예가 되기를 청하는 사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