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와 미신/신앙의 질문들

기적을 구하는 사람들에게, 기적은 없다

젊은 시절,  기적을 구하는 기도를 하거나 혹은 들을 때면 가졌던 의문이 있었다. 왜 현대 과학이 이룩한 엄청난 성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일상적으로 기적을 구하는가? 왜 어느 종교이든 기적을 구하는 일이 보편적으로 나타나는가?

내가 많이 들었던 간증 중에는 주님의 일을 하기 위해 OOO원의 돈이 필요했는데, 간절히 금식기도를 하는 중에 아무개가 어떻게 알고(혹은 우연히) 같은 금액을 헌금했다는 스토리가 많았다. 그런데 모든 사람이 기적을 구한다면, 많은 경우에 다른 사람에게 나타나야할 기적이 나에게 오므로써 누군가에게는 절망이 되지 않겠는가? 그 금액이 필요했던 또 다른 누군가에게는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고 그것은 절망이라는 뜻이다. 이런 의문을 해결한 단초는 성서의  예수 그리스도가 말했던 사마리아 사람이 강도 만난 자를 구해주는 이야기에서 찾았었다.

누기복음 10장 30절 부터 시작하는 사마리아인의 비유는 원래 내 이웃이 누구인가에 대한 설명을 하려고 예수가 한 비유이다. 대략 이런 이야기이다. 어떤 사람이 여행 중에 강도를 만나 모든 것을 빼앗기고 거의 죽을 지경으로 버려졌다. 그때 그 곳을 지나던 사람들 중에는 제사장이나 레위인(고대 이스라엘에서 레위인은 제사장의 가문으로 구별된 신분) 등은 그 자리를 피해 가지만 한 사람, 사마리아인(순혈주의 유대인에게 사마리아인은 혼혈이라는 이유로 경멸의 대상이다)은 강도 만난 자에게 응급조치를 해주고 여관으로 데려가 여관 주인에게 보살펴 주라며 돈을 주고 떠난다.

여기에서 기적은 무엇일까? 언뜻 생각하면 강도를 당한 자가 선한 사마리아 사람을 만난 것이 기적인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뒤집어 생각해보자. 만약 그 사람이 기적을 만난 것이라면, 그 전에 강도를 만나 죽을 지경이 된 것은 뭐지? 처음부터 강도를 만나지 않는 것 혹은 우연히 강도가 기다리는 곳을 피해가게 되는 것이 기적이지 어떻게 죽을 지경이 된 뒤에 사마리아인을 만난 것이 기적이  될 수 있는가? 모든 사람이 기적을 구하는 현실을 감안하면, 모든 사람이 위기에 빠지고 다시 구조를 받아야 기적이란 말인가?  

내가 찾은 해답은 이 이야기를 뒤집으면서 찾아졌다. 기적은 강도를 당한자에게 일어난 것이 아니라 사마리아인에게 일어났던 것이다. 구해줄 수 있는 치료제와 여관에 치료를 맡길 돈을 가지고 있었던 그에게 도와줄 대상이 나타난 것이 기적이라는 뜻이다. 모든 사람이 나에게 기적적으로 어떤 일이 일어나기를 구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가진 능력이나 재물 등으로 살릴 수 있는 사람이, 혹은 후원을 할 수 있는 대상이 나타났을 때 그렇게 실천하는 것이 기적이다. 그러니까 기적은 나에게 도움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내가 도움을 줄 수 있는 일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것이 우리가 기도를 해야 할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