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소미아 파기에 관해 여러 의견이 있나보다. 일부 우려도 있다고 한자. 그래서 지소미아 파기가 의미하는 것을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1. 지소미아는 기본적으로 한미, 미일 군사협정을 통해 삼각 관계로 해결해오던 군사정보교류를 한일간에 직접할 수 있게 만든 것이다.
2. 심지어 과거에도 한일간에 필요한 경우 직접 정보를 주고 받았다.
3. 그래서 지소미아는 마치 무역에서 화이트리스트와 같은것으로, 개별 승인을 포괄승인으로 바꾼 것에 비유할 수 있다.
4. 문제는 시작할 때부터(이명박정부는 2012년 비밀리에 이를 추진하다가 나중에 발각되어 협정체결 1시간 반 전에 취소되었다. 이후 박근혜정부가 2016년에 전격 체결했다) 아직 해소되지않은 한일간의 식민지지배 문제가 최대 걸림돌이었다.
5. 게다가 이는 일본의 한국침략을 가속화했던 가쓰라-태프트밀약처럼 미국이 동아시아 지배 군사력을 일본에게 부여하는 출발점이라는 우려가 있었다. 이 시기에 황교안총리는 일본 자위대의 한반도 진출에 동의한다는 취지의 발언으로 물의를 일으킨 바 있다.
6. 그런데 일본의 무역에서 화이트리스트 배제가 있었고 일본이 제시한 그 근거가 문제였다. 한국은 전략물자수출에 있어서 외부 반출에 대한 신뢰가 없기 때문에 화이트리스트에서 배제한다고 했던 것이다.
7. 이 논리는 그 보다 더 예민한 군사비밀을 공유하는 것은 더욱 위험하다는 뜻이다. 게다가 반도체는 경제문제이지만, 군사문제는 국권의 문제이기 때문에 더욱 더 위험하다.
8. 그래서 군사정보교환에서 화이트리스트 배제, 즉 지소미아 연장을 중단해야 했던 것이다.
'나라 꼬라지 >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또 다시 핵무기를 실전에 투입하는 미국과 영국 (0) | 2023.03.22 |
---|---|
미래를 보지 못하는 정책은 재앙이다 (0) | 2020.09.07 |
2018 지방선거를 준비해야 한다 (0) | 2017.05.31 |
차기 대통령과 싸드배치 (0) | 2017.04.20 |
총선에 임하는 나의 자세^^ (1) | 2016.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