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eople’s History of Christianity
-민중의 기독교사-
:The other side of the story
Diana Butler Bass, 2009, HarperOne
이 책의 저자 Diana Butler Bass(이하 DBB)는 듀크대학에서 교회사로 박사학위를 받고 캘리포니아대학교(U.C. Santa Barbara), Rhodes 대학, 버지니아 신학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쳤고, 그리고 지금은 워싱턴 국립대성당의 Cathedral College의 선임연구원(Senior Fellow)으로 일하고 있다. 그녀는 침례교 가정에서 자랐으나 당시의 미국 침례교는 인종차별에 동참했다. 10대 소녀일 때는 보수적인 무종파주의 교회에 다녔으며, 지금은 영국 성공회신도(Episcopalian)이다.
Introduction: After Jesus
DBB는 자신이 친구에게 들었던 이야기로부터 이 책을 집필하는 동기를 얻었다. 그 이야기는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말로 바꿀 수 있다. ‘하나님은 인류의 역사에 개입하시는가? 사실 예수를 따른다는 종교로서의 기독교가 세상 사람들로 하여금 예수에 대해 냉담하게 만들었다. 압제, 이단심판, 분파, 캐토릭교회의 종교재판, 마녀사냥, 학살, 종교전쟁 등 인간적인 야망과 잔혹함의 역사 때문이다. 그래서 ‘기독교 이야기 속에 하나님이 존재한다면 그 하나님은 무심하거나 악한 존재이고, 만약 존재하지 않는다면 더 이상 관심가질 게 없다’.
DBB의 말에 따르면, 자유신학자들은 사람들이 예수의 이상대로 사는데 실패했고, 역사는 그리스도인들이 범한 실수에 대한 장황한 기록이라고 한다. 따라서 미래에는 나아질 것이라는 전통적인 믿음을 부인한다. 보수신학자들은 하나님이 거룩한 손길로 배우와 행동을 직접 조정함으로써 역사를 주관하신다고 한다. 또 자연적, 인간적 악은 죄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이며 역사는 도덕적 교훈이나 학습이라고 한다.
그러나 DBB는 예수 이후의 기독교인들의 역사 속에서 기독교 이야기의 다른 측면을 발견할 수 있고 기독교인들의 역사 속에서 하나님의 영을 분별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흔히 듣는 이야기
내가 이 책을 서론을 읽으면서 읽고 싶다는 충동을 느끼게 한 용어는 다름 아닌 오늘날 주류 기독교를 Big-C 기독교라고 정의해 놓은 저자의 시각 때문이다. Big-C 기독교는 예수(Christ), 콘스탄틴황제(Constantine), 기독교국가(Christendom), 캘빈(Calvin), 그리고 기독교국가로서의 미국(Christian America)으로 상징된다. 이는 호전적 기독교(militant christianity)이다. 캘빈의 종교개혁으로 청교도(Puritan)들이 탄생했으며 이들이 신대륙으로 건너가 미국이라는 기독교국가를 건설했다. 보수주의자이건 자유주의자이건 모두 ‘하나님의 뜻을 땅위에 건설한다는 의로운 목적을 위해’라는 수사적 표현과 함께 공격적이고 호전적으로 행동해 왔다. DBB는 이런 전승이 처음 Cotton Mather(1702)가 쓴 <Magnalia Christi America (미국에서 행한 그리스도의 위대한 역사)>에서 시작되어 지금까지 교회 역사의 일정한 형식이면서 동시에 미국문화를 형성해 왔다고 한다.
그러나 다른 관점에서 본다면 기독교는 어떤 모습일까?
영적인 기억상실증/기억과 공동체
현재라는 역사적 시점에 서구기독교(Western Christianity)는 영적인 기억상실증의 나쁜 케이스이다. 이 기억상실증은 1800년경 계몽시대에 시작되었다. 아니 유럽의 기독교는 마법과 미신, 그리고 압제하는 전통 등 때문에 이성과 과학에 의해 계몽되어야 했던 망각하고 싶은 기억이다. 서구기독교는 과거가 너무 고통스럽고 압제적이었으며, 너무 폭력적이었기 때문에 관용과 평등의 시대가 등장하면서 사람들은 그 기억을 머릿속에서 지워버렸다.
그러나 모든 공동체는 역사를 가지고 있고 이는 그들이 과거부터 한 공동체였음을 가르쳐준다. 따라서 기독교인이 된다는 것은 기억과 역사 그리고 옛이야기를 포함해야만 한다. 그런 기억에는 1) 사랑의 헌신, 2) 사회정의가 있다. 한 기독교 공동체(자유주의)는 사랑의 헌신에 대한 기억을 망각했고, 다른 한 공동체(보수주의)는 도덕적인 삶의 기억을 잃어 버렸다.
별로 평범하지 않은 이야기
이 책은, 서구 기독교의 승리이야기가 펼쳐지는 Big-C 이야기는 현 시대의 요구를 이야기하는 데 실패했다고 말한다. 그러나 이것이 기독교 신앙의 실패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수가 말한 대로 그리고 하나님을 사랑하고 옳은 일을 하며 살기 위해 발버둥친 사람들의 전혀 호전적이지 않은 이야기가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기독교는 모두에 대한 겸손한 봉사로 세상을 변혁하고 인간사회에 은혜의 씨앗을 뿌리기 위해 그리스도를 따른다. 그래서 이를 Big-C기독교와 구별하여 ‘위대한 명령 기독교(Great Command Christianity)’라고 부른다. 이는 누가복음 10:25-37에 있는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의 “가서 너희도 이같이 행하라(Go and do likewise)”를 따르는 기독교라고 한다. 특히 저자는 이를 생성적기독교(generative Christianity, generative는 원래 언어학에서 한정된 개수의 단어가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되어 많은 문장을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라고도 부른다.
이 책은 두 가지 입장을 가지고 있다. 1) 생성적 기독교는 기독교인들이 이 위대한 명령을 서로 다른 시간과 장소에서 실천했던 것을 기억하는 것으로 가장 잘 경험할 수 있다. 2) 수십 년 동안의 분투 끝에 중도파 및 자유주의 기독교가 북미에서 소생을 경험하고 있는데 사람들은 이를 진보적기독교 혹은 신흥기독교라고 부른다. 그런데 사실은 이들이 새로 나타난 것이 아니고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전통은 희망의 생명줄이다. 이것이 없으면 진보적기독교는 쉽게 다른 정치적 혹은 사회적 아젠다(세속적 세계관이 종교적 언어로 치장한 것)로 빠질 우려가 있다.
생성적기독교에서 예수는 지혜를 가르치고 하나님나라를 가르침으로써 세상의 지배체제에 저항한 종교적혁명가였다. 그러나 군사적 승리가 아닌 겸손과 친절 그리고 사랑의 승리였다. 신흥기독교에서는 전사로서의 예수 대신 예언자로서의 예수를 강조한다. 그런데 예수 이후에는 어떠했는가? 우리는 그가 세운 공동체를 통해 이런 예수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지 않을까? 이 책은 그가 자신의 몸이라고 했던 교회의 역사 속에서 예수를 찾고자 한다.
이 책의 제목은 Howard Zinn의 “A People’s History of the United States”에서 따온 제목이다. Zinn은 미국의 역사를 여성과 소외자들 그리고 노동자들의 관점에서 말함으로써 사회적 행동주의의 틀로 기술한다. 이 책은 그리스도인의 관점에서 예언자로서의 예수의 삶을 흉내 냈던 사람들에게 초점을 둔다. 즉 정통성이 아닌 하나님과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던 예수의 부름을 진지하게 받아들여 진짜 그리스도인다운 그리스도인으로 행동했던 순간들에 초점을 맞춘다. 만약 기독교가 영적인 통찰력을 제공한다면 사람들은 교회사 속에서 예수를 볼 수 있어야 한다.
로마 캐톨릭 신학에는 사실 이런 일반적인 사람들을 가리키는 용어, ‘sensus fidelium(성령이 충만하여 정의, 진리 그리고 선에 대한 천부적인 지혜를 가진 하나님의 백성)’이 있다고 한다. 물론 저자가 강조했듯이 어느 누구도 완벽하지 않다. 인간은 죄인이면서도 동시에 거룩한 존재이다.
'종교와 미신 > 민중의 기독교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삶의 방식으로서의 기독교 (0) | 2012.02.19 |
---|---|
민중의 기독교사(A People's History of Christianity) 연재를 시작하며 (0) | 2012.02.15 |